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방법 및 자격 조건(대상) | 신청기간 | 제출서류 | 지원 횟수 | 지원내용 | 이용요금 | 패밀리서울 홈페이지 바로가기(familyseoul.or.kr)

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방법 및 자격 조건(대상) | 신청기간 | 제출서류 | 지원 횟수 | 지원내용 | 이용요금 | 패밀리서울 홈페이지 바로가기(familyseoul.or.kr)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방법 및 자격 조건(대상)

서울시는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의 가사노동의 부담을 덜어줄 ‘서울형 가사서비스’를 오는 7월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 관련 정보 더보기

📌 한부모가족 자녀 월 65만원 생활비 모바일 신청

📌 서울시 영유아 어린이 무료 발달 검사 지원

📌 서울형 0세 전담반 모집 대상 및 신청 방법


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방법

서울형 가사서비스는 임산부 가정의 건강한 출산을 돕고, 맞벌이 및 다자녀 가정에는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집안일을 도와줌으로써 일과 가정의 균형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신청기간은 2023년 6월 27일 오전 10시부터 7월 6일 23시 59분까지 10일간으로 서비스 신청은 서울시 가족센터 누리집 또는 서울형 가사서비스 누리집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절차는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페이지’에 접속 > 회원가입 > 자가진단 > 개인정보 제공 동의 > 로그인 > 신청서 작성 > 증빙서류 첨부 > 최종 제출의 순서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 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서울형 가사서비스 자격 조건(대상)

서울시는 총 64억 6천만 원을 투자해 25개 전 자치구를 대상으로 추진하며, 서울에 거주하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약 13,000가구를 지원합니다. 특히 본인 또는 가족의 장애나 질병 등으로 가족돌봄 공백이 발생한 가구는 우선적으로 지원해 가사부담을 덜어줄 계획입니다.

[서울형 가사 서비스 신청 자격]

  • 공통요건 : 서울거주 기준 중위소득 150%이하(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를 충족하고,
    • 임산부 :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1년 이내인 경우
    • 맞벌이 : 부부 모두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는 경우
    • 다자녀 : 공고일 기준 만 18세이하 미성년 자녀가 2명 이상인 경우

단 자치구 임산부 가사지원서비스, 한부모 가사지원서비스는 중복지원이 불가합니다.

👇 서울형 가사서비스 자격 조건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지원유형별 제출서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구 등 지원 유형별 제출서류는 다음과 같으며 모든 증빙서류는 3개월 내 발급 분에 한해 인정됩니다.

[임산부 가구]

  • 임신부의 경우
    • 주민등록 세대 구성원의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 확인서
    • 임신사실 확인서(병원 진단서)
  • 출산 후 1년 이내의 경우
    • 주민등록 세대 구성원의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 확인서

[맞벌이 가구]

  • 부부 모두 직장가입자인 경우
    • 주민등록 세대 구성원의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 확인서
  • 부부 모두 직장가입자가 아닌 경우
    • 주민등록 세대 구성원의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 확인서
    • 근로활동 및 소득신고서
    • 상시근로자의 경우
      • 국민연금가입자 가입증명서 1부
      • 재직증명서, 근로계약서, 위촉탁계약서, 급여명세서, 고용임금확인서 중 1부
    • 자영업자의 경우
      • 소득금액증명원 또는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원
      • 부가가치세신고서
    • 기타 일용직의 경우
      • 소득신고서
  • 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등 혼합인 경우
    • 주민등록 세대 구성원의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 확인서
    • 근로활동 및 소득신고서
    • 직장가입자가 아닌경우 : 상시근로자, 자영업자, 기타 일용직 근로유형별 제출 서류 제출

[다자녀 가구]

  • 주민등록 세대 구성원의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 확인서

이외에 가족돌봄 공백이 발생한 경우 진단서, 의사 소견서, 장애진단서 등을 제출해야 하고, 부/모 세대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지원유형별 제출서류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내용

이용자 자격심사를 거쳐 이용자로 선정되면 서비스 운영업체를 통해 가사관리사를 매칭해 가정방문을 통한 가사서비스를 지원하게 됩니다. 서비스 내용은 거주하는 장소(방, 거실) 및 주방, 화장실 청소, 설거지, 쓰레기 배출, 세탁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게 됩니다. 지원횟수는 1가구당 총 6회로, 1회당 서비스 시간은 4시간입니다.

  • 서비스 횟수 : 1가구당 총 6회 (1회당 4시간, 30분 휴게시간 포함)
  • 이용 요금 : 무료(본인부담금 없음)

단, 정리정돈, 취사, 아이돌봄, 반려동물 관련, 입주청소, 전문자격을 요하는 서비스는 지원이 불가합니다.

👇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패밀리서울 홈페이지 바로가기(familyseoul.or.kr)

서울특별시 중구 소파로에 위치한 서울시 가족센터는 서울형 가족서비스 개발 및 보급, 다양한 가족 사회안정망 강화, 자치구센터 지원 강화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소파로 4길 6
  • 고객센터 전화 번호 : 1577-9337
  • 교통 안내
    • 지하철 : 4호선 명동역 1번 출구
    • 버스 : 104, 105, 263, 507, 0013. 0211

👇 패밀리서울 홈페이지 바로가기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방법 및 자격 조건(대상) | 신청기간 | 제출서류 | 지원 횟수 | 지원내용 | 이용요금 | 패밀리서울 홈페이지 바로가기(familyseoul.or.kr)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인기 정보 더보기

📌 아이 사랑 보육포탈 보육료 결제

📌 2023년 부모급여 대상 및 신청 방법

📌 신혼부부 주택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자주 하는 질문

 
     

서울형 가사서비스 모바일 신청 방법 ?

     
                    

서울형 가사서비스는 임산부 가정의 건강한 출산을 돕고, 맞벌이 및 다자녀 가정에는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집안일을 도와줌으로써 일과 가정의 균형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조하세요!!

         
     
 
  
     

서울형 가사서비스 자격 조건(대상)?

     
                    

서울시는 총 64억 6천만 원을 투자해 25개 전 자치구를 대상으로 추진하며, 서울에 거주하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약 13,000가구를 지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조하세요!!

         
     
 
  
     

지원유형별 제출서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구 등 지원 유형별 제출서류는 다음과 같으며 모든 증빙서류는 3개월 내 발급 분에 한해 인정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