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주거급여 자격 조건 기준 및 신청 방법 | 금액 |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 자동차 | 2023년 청년주거급여 대상 및 신청 방법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거 급여는 저소득층의 임차료나 자가 가구인 경우 주택 개량 또는 수선비를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2023년에는 올해 46%인 기준 중위 소득을 47%로 확대하여 대상을 늘릴 예정입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기초생활 수급자 지원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령액 선정기준
>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및 지원금 혜택 4가지 기초생활수급자 부양의무자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총정리 및 급여 기준 | 기준중위소득 100% | 기준중위소득 60%
2023년 주거급여 자격 조건 기준 및 신청 방법
2023년 주거급여 자격 조건 기준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주거급여 자격 조건 기준
주거 급여 자격 조건은 연령이 만 30세 이상이거나 만 30세 미만일 경우 결혼을 했거나 소득이 98만 원 이상일 경우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갖춰야 할 조건이 있는데, 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산 조건 : 대도시 6,900만원, 중소도시 4,200만원, 농어촌 3,500만원 미만인 경우
- 자동차 조건 : 2,000cc 미만이면서 10년 이상이거나 10년 미만이라도 자동차의 가격이 500만 원 미만인 경우
- 소득 조건 : 근로 및 사업 소득 30% 공제 적용
👇 주거급여 자격 조건 기준 조회 👇
신청 방법
주거 급여 신청은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 온라인 :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 오프라인 : 본인 거주 지역의 행정 복지센터 방문 접수
본인 거주 지역의 행복 복지센터를 방문할 때는 담당자의 안내를 받으면 되며, 신분증, 월세 계약서, 1년간 통장 거래 내역 사본을 가지고 신청하시면 됩니다. 주거 급여 신청 시 가장 많이 탈락하는 조건은 자동차 소유 여부입니다.
이유는 정부는 자동차를 생활 필수품이라기 보다는 사치품으로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 주거급여 신청 바로가기 👇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2023년 기초생활 수급자 주거급여 수령액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2023년 주거 급여 선정 기준(기준 중위 소득 47% 미만) |
1인 가구 | 976,609원 |
2인 가구 | 1,624,393원 |
3인 가구 | 2,084,364원 |
4인 가구 | 2,538,453원 |
5인 가구 | 2,975,423원 |
6인 가구 | 3,397,151원 |
위의 소득 인정액 기준 이하인 경우에만 주거 급여를 수급 할 수 있으며, 월세 지원을 보면 주거 역에 따라 지원금의 상한선이 있습니다.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1급지(서울) : 1인 33만 원, 2인 37만 원, 3인 44.1만 원, 4인 51만 원, 5인 52.8만 원, 6인 62.6만 원.
- 2급지(경기, 인천) : 1인 25.5만 원, 2인 28.5만 원, 3인 34.1만 원, 4인 39.4만 원, 5인 40.7만 원, 6인 48.2만 원.
- 3급지(광역시, 세종시, 수도권외 특례시) : 1인 20.3만 원, 2인 22.6만 원, 3인 27만 원, 4인 31.3만 원, 5인 32.3만 원, 6인 38.2만 원.
- 4급지(그 외 지역) : 1인 16.4만 원, 2인 18.5만 원, 3인 22.0만 원, 4인 25.6만 원, 5인 26.4만 원, 6인 31.3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신청 바로가기 👇
2023년 청년주거급여 대상 및 신청 방법
청년 월세 특별 지원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1년 간 매달 최대 20만 원씩 월세를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신청은 2023년 8월 21일까지 가능합니다.
2023년 청년주거급여 대상
청년 주거급여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 30세 이상 혼인, 미혼부모 또는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상의 소득이 있어 부모와 생계를 달리하는 청년 가구는 소득 조건과 재산 조건만 만족하면 대상이 됩니다.
전세는 본 사업의 대상이 아니나, 반전세는 보증부 월세로 인정하여 지원합니다. 하숙집, 대학 기숙사, 회사 기숙사의 경우 지원대상이 되며 연세, 사글세 형택의 임대차 계약도 지원 대상이 됩니다.
👇 2023년 기준 중위 소득 50% 기준 확인👇
신청 방법
청년 주거급여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 온라인 : 복지로 누리신 홈페이지로 신청
- 오프라인 :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서 제출
행정 복지센터 방문 신청 시, 월세 지원 신청서, 소득 및 재산 신고서, 임대차 계약서 및 최근 3개월 월세 이체 증명서, 통장 사본, 가족 관계 증명서 등이 필요하니 반드시 행정 복지센터에 문의 후 서류를 지참하여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2023년 청년주거급여 신청 바로 가기👇
2023년 주거급여 자격 조건 기준 및 신청 방법 | 금액 |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 자동차 | 2023년 청년주거급여 대상 및 신청 방법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주 하는 질문
2023년 주거급여 자격 조건 기준 및 신청 방법 ?
2023년 주거급여 자격 조건 기준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조하세요!!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
2023년 기초생활 수급자 주거급여 수령액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조하세요!!
2023년 청년주거급여 대상 및 신청 방법 ?
청년 월세 특별 지원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1년 간 매달 최대 20만 원씩 월세를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조하세요!!
목차